IT회사에서 성장하는 이야기

[GA] 활성사용자 제대로 보기- DAU/ WAU / MAU / Stickiness 구하는 법 본문

스터디

[GA] 활성사용자 제대로 보기- DAU/ WAU / MAU / Stickiness 구하는 법

somsamtam 2025. 1. 15. 09:42

1.   GA4에서의 활성 사용자의 정의를 알아보자

GA4의 활성 사용자 집계는 이용자의 인게이지먼트(참여)가 발생한 이벤트만을 기준으로 한다.

아래는 구글의 공식 문서가 제시하는, 활성 사용자 기준이다.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방문한 개별 사용자의 수입니다. 활성 사용자는 참여 세션이 있는 사용자 또는 애널리틱스에서 다음을 수집한 사용자

  • 웹사이트의 first_visit 이벤트 또는 engagement_time_msec 매개변수
  • Android 앱의 first_open 이벤트 또는 engagement_time_msec 매개변수
  • iOS 앱의 first_open 또는 user_engagement 이벤트


설명하면, 1. 서비스를 처음 방문 또는 실행했거나 2. 세션 시간이 기록된 사용자를 뜻한다.
앱 삭제, 알림 수신과 같은 이벤트는 이용자가 서비스에 직접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활성 사용자로 보기 어렵다.

이런 이벤트는 '총 사용자'에는 해당하지만 '(활성) 사용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GA4가 활성 사용자 수를 세는 방식 총정리 [심화편]

UA와 작별하는 기획자와 분석가를 위한 GA4-BigQuery 가이드

datarian.io

 

2.  GA4에서 활성 사용자 데이터로 DAU/ WAU / MAU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간단하다, GA4 에서 탐색 탭에서 확인하면 된다. 

  1. 왼쪽 메뉴 [탐색] → [새 탐색] 클릭
  2. [탐색 기법]에서 자유 형식 선택
  3. 측정항목에 활성 사용자 추가
  4. 기간을 1일, 7일, 30일로 각각 설정해 추출

 

GA4 "활성 사용자" 30일 기준 데이터 의미

  • 의미: 최근 30일 동안 한 번이라도 사이트나 앱에 방문한 고유 사용자 수입니다.
  • 공식: Unique Users (최근 30일)
  • → 즉, "30일간 DAU의 합"이 아니라 "30일 동안 한 번이라도 방문한 사람 수"입니다.

 

  • 위 이미지처럼 구하면 MAU를 구할 수 있게 된다. 

 

 

3. Stickiness에 대해 알아보자

Stickiness는 서비스의 사용자 충성도 또는 재방문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지난 1년 동안 Stickiness 계산하는 법

  • 1년 동안
    • 일평균 DAU = 5,000명
    • 월평균 MAU = 50,000명
      • Stickiness= 50,000/5,000​ ×100=10%

 

신뢰할 수 있는 사용법 요약

  • 단기 Stickiness: DAU 평균 / MAU (특정 한 달 기준) → OK
  • 장기 Stickiness: DAU 평균 / MAU 평균 → 이렇게 보정해서 사용해야 더 정확

 

 

Stickiness 수치의 해석

Stickiness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 높은 Stickiness (50% 이상): 메신저, SNS 등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앱
  • 중간 Stickiness (10~20%): 게임, OTT 서비스 등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앱
  • 낮은 Stickiness (5% 이하): 멘탈 헬스케어, 금융, 보험 등 필요할 때만 사용하는 앱

 

Tip:

  • Stickiness가 낮다고 꼭 나쁜 건 아닙니다.
    (예: 월 1~2회 사용하는 서비스는 자연스럽게 낮습니다.)
  • 반대로, 커머스 앱에서 30% Stickiness가 나오면 굉장히 성공적인 수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