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네이버플러스스토어 앱 출시
- pm문서
- 사업기획
- 프로덕트오너
- 네이버 커머스 경쟁력
- ai 추천 기능
- 프로덕트매니저
- 서비스기획
- ga4
- PRD
- 업무회고
- PO
- 믹스패널
- 구매 전환
- 데이터분석
- GA
- "og(open graph)
- 단골 마케팅
- 대시보드
- 비기능 요구사항
- 데이터 분석
- 초개인화 쇼핑 서비스
- PA툴
- purchase conversion rate
- PM
- 데이터
- BI
- 프로덕트기획
- 탐색형 고객
- 프로덕트매니지먼트
- Today
- Total
목록스터디 (25)
IT회사에서 성장하는 이야기

https://newsjel.ly/archives/newsjelly-report/15810 데이터 하나로 만들 수 있는 100개 차트, 그중 나에게 적합한 차트는? - 뉴스젤리 : 데이터 시각화작은 데이터 하나만으로 만들 수 있는 차트가 무려 100개나 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그렇다면, 우리는 그중 어떤 차트를 선택해야 할까요? 사례를 통해 함께 알아봐요!newsjel.ly 요약변화/추이를 표현하고자 할 때: 누적 막대 차트, 덤벨차트비교할 때: 막대 차트비중을 표현할 때: 누적 막대 차트, 도넛 차트총 건수의 변화 (증가/ 감소)를 표현하고자 할 때누적막대 차트, 덤벨 차트연도별, 국가별 비교할 때(그룹) 막대 차트특정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을 이야기하고자 할 때 - 전체를 100%으로 두고 비중을..

오늘은 믹스패널에서 조건을 설정하여 사용자를 조회하는 것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조건에 맞는 코호트를 설정하는 방법과 활용방안 사례에 대해서도 사례를 들어 설명하려고 합니다. 이런 조건은, 충성고객을 선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뿐만 아니라 이렇게 충성고객을 선별한 뒤, 어떤 플로우로 행동을 하는지 사용 경향성을 샅샅히 분석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총 7명의 유저가 지난 30일 동안 4번 이상의 주문을 발생시켰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 User ID를 매개로 Admin 정보와 비교를 해서 더블 체크를 진행합니다. 뿐만 아니라 믹스패널에는 주문 취소에 대한 ..

스타트업에서의 도입 경험을 바탕으로 초기에 도입할 때, 이벤트 수집계획을 세우실 때, 그리고 믹스패널을 사용할 때 참고할 만한 몇 가지 팁을 공유합니다. 목표를 분명하게 설계하고 이벤트 수집 계획을 세우세요. 비즈니스 목표를 먼저 분명하게 세우고 이벤트 수집계획을 세우세요. 서비스의 핵심 전환과 연관된 이벤트부터 수집하세요. 데이터 분석도 결국 성과라는 목표가 분명한 행위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한번에 모든 이벤트를 수집하려고 하지 말고 핵심 이벤트 먼저 진행하세요. Agile하게 진행하세요. 이벤트를 관리 할 스프레드시트, 문서를 만드세요. 이벤트 이름, 프로퍼티, 이벤트 설명, 생성일, 수정일, 작성자, 진행단계 등 관리해야 할 게 많습니다. 이벤트/..

회사에서 GA가 아닌 믹스패널을 도입을 한 과정을 통해 알게 된 믹스패널에 대한 정보를 몇가지를 정리합니다. 믹스패널을 도입한 첫 번째 이유는 리얼타임으로 로그 데이터가 전송되기 때문이었어요. 믹스패널에 심어둔 이벤트는 앱에서 실행한 뒤 약 1분 안에 데이터가 축적됩니다. 그래서 유저의 액션을 트래킹하기 수월해요. 이슈가 발생했을 때 이슈의 타격을 입은 유저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어떤 유저가 타격을 입었는지 바로 확인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죠. 반면 GA는 발생시킨 이벤트가 잘 쌓였는지 확인하려면 최대 하루까지 걸립니다. 그래서 리얼타임으로 유저들의 행동을 파악하기 어려워요. 믹스패널을 도입한 두번째 이유는 유저 정보를 커스텀할 수 있어요. 그리고 수집항목이 상세해요. 예를 ..

개인적으로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도서를 좋아하는데요, 해당 도서는 실무에 바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제 기법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회사의 수명 주기(아이디어, 스타트업, 성장, 확장, 성숙) 5단계로 구분하여 제안하기 때문에(p.8) 문제 상황에 봉착했을 때 상황에 따라 페이지를 넘겨 꺼내 읽고 도움을 받아야겠다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비즈니스는 고객을 잘 아는 것] 1,2장에서는 고객과 고객의 과업(JTBD)을 어떻게 하면 더 잘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요약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것이PM/PO/기획자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새로운 시장을 발굴하고 고객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업을 연속적으로 하는 직업일 테니까요. JTBD이라는 말을 사실 여러 아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저(PM)의 역할 프로덕트 매니저(PM)의 역할을 한마디로 규정하면 프로덕트를 성공시키는 것이다. 35p. --> 어떤 뜻일까? 내가 해석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업무의 한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책임감) 2. 프로덕트 구조에 대해 다방면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분석적) 3.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기획(planning)'을 하고 리소스 대비 극대화된 성과를 위해 '실행(operation)'해야 한다. (주도성) 프로덕트 성공을 위한 3요소 1. 비전- "프로덕트가 존재하는 이유가 있는가?, 프로덕트를 통해 어떤 세계를 만들고 싶은가?"에 대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2. 사용자 가치 - 프로덕트를 통해 어떤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제안하고자 하는지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3.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