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회사에서 성장하는 이야기

[앱 심사] 우리 서비스가 Spam이라고요? - Apple 앱 심사 리젝 대응 팁 :Guideline 4.3(b), Guideline 5.1.1 본문

스터디

[앱 심사] 우리 서비스가 Spam이라고요? - Apple 앱 심사 리젝 대응 팁 :Guideline 4.3(b), Guideline 5.1.1

somsamtam 2024. 9. 29. 13:39

신사업을 준비하면서 apple 심사가 리젝된 경험과 최종 승인받은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개인적으로 제 손으로 신규 서비스 런칭을 준비하고 런칭까지 한 경험은 처음이기 때문에 굉장히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런칭 준비하면서 심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생각보다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럼에도 주변 동료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진행할 수 있었던 게 참 감사했습니다. 신규 서비스 런칭을 위한 한 작업들은 나중에 기회가 되면 정리하겠습니다. 


 

 

리젝받은 정책은 총 5가지로 아래와 같습니다.

이 중에서 기술문제는 개발자들이 처리해 주셨고, 저는 서비스 기획 측면에서 대응을 했습니다. 그 부분에 집중해서 정리해 볼게요.

 

  • Guideline 5.1.1 - Legal - Privacy - Data Collection and Storage
  • Guideline 5.1.2 - Legal - Privacy - Data Use and Sharing
  • Guideline 4.3(b) - Design - Spam
  • Guideline 5.1.2 - Legal - Privacy - Data Use and Sharing
  • Guideline 5.1.1 - Legal - Privacy - Data Collection and Storage

 

이제 각 리젝내용을 어떻게 대응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Guideline 5.1.1 - Legal - Privacy - Data Collection and Storage
    • 문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사용자가 계정 기반이 아닌 앱 기능에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앱을 개정하세요."
    • 대응: 나중에 보니 이 내용에 대해서는 저희가 대응을 안 해서 이 내용은 한참 뒤에 한번 더 리젝 사유로 애플에서 리젝을 했습니다. 하하.. 특정 개발자분께서 저에게 공유하지 않고 바로 5.1.2에 대해서만 대응을 했더라고요.. ㅠㅠ
  • Guideline 5.1.2 - Legal - Privacy - Data Use and Sharing
    • 문제: 활동을 추적하기 전에 앱 추적 투명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허가를 요청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
    • 대응: 앱 추적 권한을 요청하는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 Guideline 4.3(b) - Design - Spam

4.3 스팸 정책 캡쳐
애플 회신 캡쳐

  • 문제: 이게 무슨 내용이냐면요, 서비스의 차별점을 어필하라는 내용입니다.
    • 런칭하고자 하는 앱과 같은 것들이 AppStore에 이미 많기 때문에 차별점이 있어야 심사 통과시켜주겠다는 내용입니다. 정말 놀랐던 리젝 사유였습니다. 애플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앱이 아니면 홈 화면에 추가하면 네이티브 앱처럼 보이고 동작하는 웹 앱을 만드는 것을 고려하라고 하더라구요. '이런 것까지...? 심사한다고?' 싶었지만 우리 서비스의 차별점을 정리하여 회신했습니다. 회신 이후에도 8일 정도 승인을 안 해줬습니다. 긴급심사도 넣고, 한번 더 어필 회신했습니다. 

네이티브 앱처럼 보이고 동작하는 웹 앱이란 이런 겁니다.


점술이나 사주, 데이트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주로 이 정책에서 리젝을 당한다고 하더라구요. 비슷한 경우 어떻게 대응했는지 찾아봤습니다. 다른 서비스에서는 디자인이나 기획 측면에서 꽤 많은 것들을 개선하셨더라구요.

 

[iOS] 4.3.0 Design: Spam 대처 방법

4.3.0 Design: Spam 리젝을 받았을 때 해결하는 방법

velog.io

 

 

앱 출시 과정에서 얻은것들!

오늘은 처음으로 앱 스토어에 앱을 출시해 본 경험을 얻어 정리해 보는 날입니다. 개발 시작이 언제였던 건지는 이제 기억도 안 나고 있지만.. 여하튼 출시를 하면서 얻었던 좋은 경험들에 대한

daebong-monk.tistory.com

 

 

💡 의의: 구글에서 찾아봤던 서비스들이 모두 기능을 수정하는 형태로 대응을 했지만, 저희는 서비스의 차별점을 어필하는 방향으로 진행한 것이 개발 리소스를 감축하고 원래 기획 의도대로 런칭할 수 있었다는 면에서 큰 의의가 있던 경험이었습니다. 여러 사례 때문에 겁먹고 기능 수정으로 풀어가지 않고 단순하게 도전적으로 어필한 것이 큰 역할을 했던 것 같습니다. 때로는 논리적이고 도전적인 어필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었습니다.  (물론 8일 정도 심사가 오래 걸리긴 했습니다!)

 

  • Guideline 5.1.2 - Legal - Privacy - Data Use and Sharing
    • 문제 및 대응: 앱 내에 개인정보리포트에서 누락된 내용이 있다는 내용으로 개발자분들이 대응해 주셨습니다.
  • Guideline 5.1.1 - Legal - Privacy - Data Collection and Storage
    • 문제: 해당 정책은 요약하면 로그인하지 않고도 앱에 접근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라는 내용입니다. 
    • 대응: 저희는 로그인 기능이 핵심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내용으로 대응했습니다. 
      • 과거에 이커머스 서비스를 런칭할 때도 이와 같은 리젝을 당하고 통화도 된 적이 있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로그인의 필요성을 어필하여 통과를 받아냈습니다 ~!

 

결과적으로 심사가 통과되었습니다 !

참 여러번 대응을 했더라고요. 성공적으로 앱 런칭을 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참 재밌는 경험이기도 했습니다. 

다른 서비스를 런칭하시는 분들도 이 경험 바탕으로 승인을 잘 이끌어 내시기를 바랍니다. 

 

심사 전에 미리 가이드라인을 잘 읽어보시고 준비하시면 심사 승인을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모두 화이팅입니다!